본문 바로가기
창조경영자

창조경영자는 자신을 명확하게 보는 능력이 있다 3

by 창조인 2025. 1. 26.

자신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사람이 성공적인 경력을 쌓고 품격있고 가치 있는 삶, 건강하고 행복한 삶, 우아하고 거룩한 삶을 살다가 사회에 유산을 남긴다. 자기인식은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 보이는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려는 의지와 기술이다.

자기인식이 극적으로 향상되면 통찰력이 생긴다

자기인식이 극적으로 향상되면 통찰력이 생긴다. 자신의 가치(Value 자신을 이끄는 원칙들), 열정(Passion 자신이 사랑하는 일), 포부(Aspiration 자신이 경험하고 성취하기를 원하는일), 적당한 환경(Fit 자신이 행복하고 몰두하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로 하는 환경), 행동양식(Pattern 일관된 사고, 감정, 행동양식), 반응(Reaction 자신의 역량을 보여주는 사고, 감정, 행동들), 영향력(Impact  자신이 타인에게 미치는 작용)을 이해한다.

우리가 무언가에 몰두하면서 행복하게 살려면 어떤 종류의 환경이 필요한지 적합한 환경을 정확히 알 때 우리는 적은 노력으로 많은 성과를 낼 수 있고, 보람찬 시간이었다는 느낌으로 하루를 마감할 수 있다. 자신이 무엇에 가치를 두는지, 무엇에 열정을 갖는지, 무엇을 인생에서 경험하고 싶은지 알아야만 자신에게 이상적인 환경을 그려나갈 수 있다. 

강점을 강화하는 구체적인 전략

1. 강점을 강화하는 구체적인 전략

모르는 것을 발견할 때 앎이 시작된다. 강점을 발견했다면 이를 더 발전시키고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잡초를 뽑지말고 꽃을 심어라.

① 매일 작은 실천으로 강화하기

ⓐ 자신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일상적인 습관을 만든다.

ⓑ 예를 들어, 창의력이 강점이라면 매일 새로운 아이디어를 3가지 기록하는 습관을 들인다.

매일 작은 실천으로 강화하기

② 강점 관련 기술 연마

ⓐ 자신의 강점에 관련된 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강점을 기반으로 한 자격증, 교육 과정, 세미나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강점 관련 기술 연마

③ 강점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기

ⓐ 일, 인간관계, 취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계획한다.

ⓑ 예를 들어, 리더십이 강점이라면 팀 프로젝트, 봉사활동, 사회적 모임에서 이를 발휘한다.

강점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기

2. 전략적 인생설계 과정

강점은 단순히 발견하고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를 전략적으로 설계하고 지속 가능한 목표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성숙한 인생을 살아가면서 도덕적으로 완벽해지기 위해 지키고 싶은 원칙을 세워야 한다.

전략적 인생설계 과정

① 명확한 목표 설정

ⓐ 자신의 강점과 연결된 구체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다.

㉮ 절제 (Temperance 배부르도록 먹지 않는다. 취하도록 마시지 않는다.)

㉯ 침묵 (Silence 타인이나 자신에게 이로운 말만 한다. 쓸데없는 말은 하지 않는다.)

㉰ 질서 (Order 모든 물건은 제자리에 둔다. 모든 일은 시간을 정해두고 한다.)

㉱ 결단 & 해결 (Resolve & Resolution 해야만 할 일은 과감히 결심한다. 결심한 일은 반드시 실행한다.) 

㉲ 검소 (Frugality 타인이나 자신에게 이익이 없는 일에는 돈을 쓰지 않는다. 낭비하지 않는다.)

㉳ 근면 (industry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다. 항상 유용한 일에 시간을 쓰고 모든 불필요한 행동을 끊는다.)

㉴ 진실 & 성실 (Truth & Sincerity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속임수를 쓰지 않는다. 낭비하지 않는다.)

㉵ 정의 & 정당성 (Definition & Justice 타인에게 손해를 끼치거나 당연히 베풀어야 할 도움을 모른체하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다.)

㉶ 중용 & 절도 (Moderate & Moderation 극단을 피한다. 타인이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응징하기를 삼간다.) 

㉷ 청결 (CLeanliness 신체, 의복, 주택을 불결하게 하지 않는다.)

㉸ 침착 & 평온 (Composure & Tranquillity 사소한 일, 흔한 또는 부득이한 사고에 동요하지 않는다) 

㉹ 순결 (Chastity 건강한 자손을 위해서만 부부생활을 한다. 감각이 둔해지고, 몸이 쇠약해지고, 자신과 상대의 평화와 평판에 해가 되지 않도록 삼간다.) 

㉺ 겸손 (Humility 예수와 소크라테스를 본받는다.)

ⓑ 예 : "내 창의력을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겠다."

명확한 목표 설정

② 강점 기반 시간 관리

우리가 삶을 어떻게 살고 싶은지 지침이 되는 핵심 원칙들을 세우는 것이야말로 자기인식과 통찰로 이어지는 첫 번째이자 결정적인 단계이다.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활동에 우선적으로 투자한다. 반대로 약점 보완에 지나친 시간을 소비하지 않도록 한다.

"나는 무엇을 달성하고 싶은가?"라고 묻기보다는 "내가 인생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라고 질문해야 한다. 우리의 행동양식은 다양한 상황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우리의 사고, 감정, 행동방식이다. 즉 우리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상상할 수 있는 조망 수용(perspective taking 관점 취하기)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강점 기반 시간 관리

③ 강점 중심 네트워크 형성

자신의 강점을 공유하고 강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 강점 관련 모임, 전문가 멘토링, 동아리 참여 등. 사람들이 곤경에 빠지는 이유는 뭔가를 몰라서가 아니다. 그 뭔가를 확실히 안다는 착각 때문이다. 사람들이 자기 망상에 빠져있을 때 그 사실을 가장 마지막에 알아차리는 사람은 대체로 본인 즉 자기 자신이다.

제일 먼저 우리가 할 일은 "고통에 반응하기 보다는 흡수하기"이다. 통찰을 행동으로 옮겨야만 한다. 우리의 실수와 한계를 인정할뿐 아니라 그것들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창조경영자는 자신을 명확하게 보는 능력이 있다 4

 

창조경영자는 자신을 명확하게 보는 능력이 있다 4

보다 용감해지고, 보다 현명해지기 위해서는 자기인식의 맹점에서 자기통찰로 옮겨가야 한다. 어떻게 하면 누구나 자신에 대한 무지에서 벗어나 자기통찰로 옮겨갈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kpeialpha.tistory.com